Page 12 - ebook
P. 12
고형암 항암치료 환자의 부작용 관리 Diarrhea / Dehydration
Risk Factors
- 환자 요인: 고령, 여성, poor performance status, 이전의 유당불내증과 같은 동반 질환, 장관 내 암종의 존재
- 치료 관련 요인: 5-FU / irinotecan 함유 regimen, 면역치료(Ipilimumab, pembrolizumab, nivolumab
등), cancer growth inhibitors(Ertotinib, Afatinib), weekly schedule, infusional chemotherapy, 이전의
chemotherapy related diarrhea의 과거력, concomitant abdominal-pelvic radiation and chemotherapy
Management
- 합병증이 동반되지 않은 1-2등급 설사의 경우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면서 장에 부담이 적은 식단과 loperamide
를 사용하는 지사요법을 사용
- 3등급 이상의 설사나 심한 복통, 2등급 이상의 구토, 일상생활 수행능력의 악화, 발열, 패혈증, 호중구 감소, 장
출혈, 탈수가 발생하는 경우 입원을 고려하고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
- 식이 요법
• 합병증이 의심되는 경우 금식과 위장관 휴식이 필요함
• 식이 가능한 경우:
• 충분한 양의 수분 섭취 (~2 L/day), 술, 커피는 제외
• BRAT 식단(banana, rice, apples, toast): low fiber diet
• 소량씩 자주 식사를 천천히
• 일반적으로 장에 좋다고 알려진 high fiber diet (신선 과일이나 채소 등)는 설사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
피해야 함.
• 고농도의 식사보충제도 설사를 악화시킬 수 있음
• 일시적으로 유당불내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유제품은 피해야 함.
• 튀긴 음식, 기름기가 많은 음식, 자극적이고 매운 음식을 피해야 함.
- 약물 요법
• Loperamide, lomotil codein →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octreotide 사용
• Loperamide: 4 mg 투여 후 무른 변이 있을 때마다, 그렇지 않으면 4시간마다 2 mg 복용
• 24시간 경과 후 증상이 더 악화되는 경우 설사가 없는 상태가 12시간 이상이 될 때까지 2시간마다 2 mg
복용
• Octreotide: 다른 방법으로 호전이 없는 경우 100 mcg을 8시간마다 주사(5일 내 치료 시 보험 인정)
• 변비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증상이 멈춘 후 12시간 후에는 약제 투여를 중단해야 함
12